제 3 편 삼조선(三朝鮮)분립시대

 제 1 장 삼조선의 총론

1. 삼조선 명칭의 유래

종래의 각 역사책에 삼조선 분립의 사실이 빠졌을 뿐 아니라 , 삼조 선이라는 명사까지도 단군 ·기자·위만의 세 왕조라고 억지 해석을 하였다 .

삼조선은 신·불 ·만 삼한의 분립을 말한 것이니 , `신한'은 대왕 ( 大王 ) 이요 , 불·말 두 한은 부왕 ( 副王 ) 이다 . 삼한이 삼경 ( 三京 ) 에 나뉘어 있어 조선을 통치하였음은 이미 제 1 편에서 말하였거니와 , 삼조선은 곧 삼한이 분립한 뒤에 서로 구별하기 위하여 신한이 통치하는 곳은 신조선이라 하고 , 말한이 통치하는 곳은 말조선이라 하고 , 불한이 통치하는 곳은 불조선이라 하였다 . 신·말·불 삼한은 이두문으로 진한 ( 辰韓 ) ·변한 ( 弁韓 ) 이라 기록된 것이고 , 신·말 ·불 삼조선은 이두문으로 진 ( 眞 ) · 막 ( 莫 ) · 번 ( 番 ) 삼조선이라 기록된 것이다 . 똑같은 신·말·불의 음역 ( 音譯 ) 이 어찌하여 하나는 진·마·변이라 하고 또 하나는 진·막·번이라 하여 같지 아니한가 ? 이는 남북의 이두문의 용자 ( 用字 ) 가 달랐기 때문이거나 혹은 지나인의 한자 음역이 조선의 이두문의 용자와 달랐기 때문일 것이다 . 조선에는 고전 ( 古典 ) 이 거의 다 없어졌으므로 삼조선의 유래를 찾을 길이 없으나 , 지나사 ( 支那史 ) 에는 왕왕 보인다 . 사기 ( 史記 ), 조선열전 ( 朝鮮列傳 ) 에 `진번조선 ( 眞番朝鮮 ) '이라 한 것은 신·말 두 조선을 함께 말한 것이고 , 주 ( 註 ) 에 “번 ( 番 ) 은 일에 막 ( 莫 ) 으로도 쓴다 ( 畵一作莫 ). ”고 하였는데 , 번자를 막자로 대신하면 `진막조선 ( 眞莫朝鮮 ) '이 된다 . 진막조선은 신·말 두 조선을 함께 말함이니 , `진막번조선 ( 眞莫番朝鮮 ) ' 혹은 그대로 써서 신·말·불 삼조선을 다 말하지 않고 , 혹은 막자를 빼어버리고 `진번조선 ( 眞番朝鮮 ) '이라 하거나 혹은 번자를 빼어버리고 `진막조선 ( 眞莫朝鮮 ) '이라 기록한 것은 무슨 까닭인가 ? 이는 지나인이 외국의 인 명·지명 등 명사를 쓸 때에 매양 문예 ( 文藝 ) 의 평순 ( 平順 ) 을 위하여 축자 ( 縮字)를 쓰는 버릇으로 그렇게 쓴 것이다 .

목천자전 ( 穆天子傳 ) 의 한 ( 韓 ) 은 신한을 가리킨 것이요 , 관자 ( 管子 ) 의 `발조선 ( 發朝鮮 ) '과 대대례 ( 大戴禮 ) 의 `발식신 ( 發息愼) '은 불조선 을 가리킨 것이요 , 오직 말조선은 지나와 멀리 떨어져 있었으므로 사기이외에는 다른 책에 보이는 것이 없다 .

2. 삼조선의 위치와 범위

한 ( 韓 ) 은 나라 이름이 아니라 왕이란 뜻이니 , 삼한이란 삼조선을 나누어 통치한 세 대왕을 말함이고 , 삼조선이란 삼한 곧 세 왕이 나누어 통치한 세 지방임은 물론이어니와 , 그 세 도읍의 위치와강역 ( 疆域 ) 의 범위도 기술할 수 있을까 ?

삼한의 도읍은 1) 제 1 편에 말한 `아스라' ----지금의 합이빈 , 2) `알티' ----지금의 개평현 ( 蓋平縣 ) 동북쪽 안시 ( 安市 ) 옛 터 , 3) `펴 라' ----지금의 평양 , 이 셋이다 . 삼조선이 분립하기 전에는 신한이 온 조선을 통치하는 대왕이 되고 , 불·말 두 한이 그 부왕 ( 副王 ) 이었 으므로 , 신한이 `아스라'에 머물러 있을 때에는 말·불 두 한은 하나 는 `펴라'에 , 하나는 `알티'에 머무르고 , 신한이 `알티' 혹 `펴라'에 머물러 있을 때는 불·말 두 한은 또한 다른 두 서울을 나누어 지키다가 삼조선이 분립한 뒤에는 삼한이 각기 삼경 ( 三京 ) 의 하나를 차지하고 , 조선을 셋으로 나누어 가졌다 .이때의 삼한이 차지한 부분을 상고하건대 , 만주원류고 ( 滿洲原流考 )에 , “한서지리지에 요동의 번한현 ( 番汗縣 ), 지금의 개평 등지가 변한 ( 弁韓 ) 의 고도 ( 古都 ) 이다 .”라 했는데 , 번한과 변한이 음이 같으니 개평 동북쪽의 `알티'가 불한의 옛 서울일 것이다 .

삼국유사 ( 三國遺史 ) 에 , “마한(馬韓 ) 은 평양의 마읍산 ( 馬邑山 ) 으로 이름한 것이다 .”라고 하였는데 , 마한으로 인하여 마읍산이 이름을 얻은 것이요 , 마읍 ( 馬邑 ) 으로 인하여 이름을 얻은 것은 아니나 , 마한은 곧 평양에 도읍하였다가 뒤에 남쪽으로 옮겼음이 사실이니 , 평양 곧 `펴라'가 ( 말한 ) 의 옛 서울일 것이요 , 신한은 비록 상고할 곳이 없으나 `알티'와 `펴라'의 두 서울이 불·말 두 한을 나누어 점령하였으니 , `삼한'이 합이빈 곧 `아스라'에 도읍하였을 것이 의심없다 .

이에 삼조선의 강역의 윤곽도 대개 그릴 수 있으니 , 지금 봉천성 ( 奉天省 ) 의 서북과  동북 ( 開原 이북 , 興京 이동 ) 과 지금 길림 ( 吉林 ) ·흑룡 ( 黑龍 ) 두 성 ( 省 ) 과 지금 연해주 ( 沿海州 ) 의 남쪽 끝은 신조선의 소유이고 , 요동반도 ( 遼東半島 : 開原 이남 , 興京 이서 ) 는 불조선의 소유이며 , 압록강 이남은 말조선의 소유였다 . 그러나 전쟁의 세상에 고정된 강역이 있을 수 없으니 , 시세를 따라 삼조선의 국토가 많이 늘었다 줄 었다 하였을 것이다 .

3. 기록상 삼조선을 구별할 조건

이제 역사를 읽는 이들이 귀에 서투른 `신조선' , `불조선' `말조선' 이라는 소리만 들어도 이미 놀랄 것인데 , 하물며 전사 ( 前史 ) 에 아무 구별없이 쓴 `조선 ( 朝鮮 ) '이란 명사들을 가져다 구별하여 , 갑의 역사에 쓰인 조선을 신조선이라 하고 , 을의 역사에 쓰인 조선을 불조선이라 하고 , 병의 역사에 쓰인 조선을 말조선이라 하면 믿을 사람이 누구랴 ? 그러나 삼국사기를 읽어보면 고구려 본기 ( 本紀 ) 에 동·북 두 부여를 구별치 않고 다만 부여라 씌었고 , 신라 본기에는 크고 작은 등 다섯 가야 ( 加耶 ) 를 구별치 않고 다만 가야라 씌어 있으니 , 만일 전사 ( 前史 ) 에 구별하지 아니한 것이라고 하여 그대로 구별치 아니하면 두 부여사나 다섯 가야사 ( 加耶史 ) 의 본 면목을 회복할 날이 없을 것이 아닌가 ? 하물며 삼조선의 분립은 조선 고사에 있어서 유일한 큰 일이니 , 이를 구별치 못하면 곧 그 이전에 대단군 왕검의 건국의 결론을 찾지 못할 것이요 , 그 이후에 동북 부여와 고구려·신라·백제 등의 문화적 발전 서론 ( 緖論 ) 을 얻지 못할 것이니 , 어찌 습견 ( 習見 ) 에 젖은 이의 두뇌에 맞추기 위해 삼조선의 사적 ( 事蹟 ) 을 구별하지 않으랴 ?

삼조선의 사적 ( 史的 ) 재료는 오직 사기 ( 史記 ), 위략 ( 魏略 ), 삼국지 ( 三國志 ) 등 지나사 ( 支那史 ) 뿐이지만 저 지나사의 저작자들이 그들의 유전적인 교오병 ( 驕傲病 ) 이 있어서 , 조선을 서술할 때에 조선 그자체 를 위하여 조선을 계통적으로 서술하지 않고 오직 자기네와 정치적으로 관계되는 조선을 서술하였고 , 그나마도 왕왕 피차의 성패와 시비를 뒤바꾸어 놓았음이 그 하나요 , 조선의 나라 이름 ·지명 등을 기록 할 때에 왕왕 조선인이 지은 본디의 명사를 쓰지 않고 자의로 딴 명사를 지어 , 동부여 ( 東扶餘 ) 를 불내예 ( 不耐濊) 라 하고 , 오열홀 ( 烏列忽 ) 을 요동성 ( 遼東省 ) 이라 하는 따위의 필법 ( 筆法 ) 이 많음이 그 둘이요 , 조선은 특수한 문화가 발달하여 왔는데 , 매양 기자 ( 箕子 ) 나 진 ( 奏 ) 나라 유민에게 공을 돌리려 하여 허다한 거짓 증거를 가짐이 그 셋이다 . 그러므로 사마천이 사기를 지을 때에 연 ( 燕 ) 의 멸망이 오래지 않았으니 연과 삼조선에 관계된 사실의 상고할 만한 것이 적지 않았을 것이고 , 한무제 ( 漢武帝 ) 가 조선의 일부분이요 , 삼경 ( 三京 ) 의 하나인 `알티'의 문화고도 ( 文化故都 ) 를 점령하였으니 , 고대의 전설과 기록이 적지 않았을 것인데도 불구하고 사기의 조선전 ( 朝鮮傳 ) 은 조선의 문화적 ·정치적 사실을 하나도 쓰지 않고 , 오직 위만 ( 衛滿 ) 과 한병 ( 漢兵 ) 의 동침 ( 東侵 ) 을 썼을 뿐이니 , 이는 조선전이 아니라 위만의 소전 ( 小 傳 ) 이요 , 한나라의 동방 침략의 약사 ( 略史 ) 이다 . 위략 , 삼국지 등의 책은 관구검 ( 母兵檢 ) 이 실어간 고구려의 서적으로 재료를 삼았으나 또한 그 폐습의 심리를 가지기는 마찬가지였다 .

그러면 무엇에 의거하여 저들의 기록에 보인 조선들을 가지고 이것 이 신조선이니 , 말조선이니 , 불조선이니 하는 구별을 내릴 것인가 ? 사기 조선에는 위만이 차지한 불조선만을 조선 ( 朝鮮 ) 이라 쓰는 대신에 신조선은 동호 ( 東胡 ) 라 일컬어서 흉노전에 넣었다 .

그러니 이제 사기, 흉노전에서 신조선의 유사 ( 遺事 ) 를 , 조선전에서 불조선의 유사를 초출 ( 抄出 ) 하고 , 위략이나 삼국지의 동이열전 ( 東夷列傳 ) 의 기록을 교정하여 이를 보충하고 말조선은 지나와 멀리 떨어져 있어서 지나사의 필두에 오른 일은 적으나 , 마한 ( 馬韓 ) ·백제 ( 百濟 ) 의 선대는 곧 말조선 말엽의 왕조이니 , 이로써 삼조선이 갈라진 역사의 대강을 알 것이다 .

4. 삼조선 분립의 시초

대단군 ( 大檀君 ) 의 정제 ( 定制 ) 에는 비록 삼한이 있어 삼경에 나뉘어 머물렀으나 , 신한은 곧 대단군이니 제사장으로서 겸하여 정치상의 원수가 되고 , 말·불 두 한은 신한을 보좌하는 두 부왕에 지나지 않는 나라의 체제를 확립하였으므로 , 삼조선이라는 명칭이 안는 나라의 체제를 확립하였으므로 삼조선이라는 명칭이 없었는데 , 삼한이 분립한 뒤 삼조선이란 명사가 생겼음은 이미 앞에서 말하였거니와 , 삼한이 어느 시대에 분립하였는가 ? 사기에 보인 진막벌조선은 전연시 (全燕時 ) 곧 연의 전성 시대라고 하였는데 , 연의 전성 시대는 지나 전국시대 ( 戰國時代 ) 초이고 , `발조선 ( 發朝鮮 ) '을 기록한 관자 ( 管子 ) 는 관중 ( 管仲 ) 이 지은 것이 아니고 전국시대의 위서 ( 僞書 ) 이며 , `발숙신 ( 發肅愼 ) '을 기록한 대대례 ( 大戴禮 ) 는 비록 한인 ( 漢人) 대승 ( 載勝 ) 이 지은 것이지마는 , 발식신 ( 發息愼) 운운 한것은제인 ( 齊人 ) 추연 ( 鄒衍 ) 이 전 한 것인데 , 추연은 전국시대의 인물이다 .

신·말·불 삼조선의 명사가 이같이 지나 전국시대 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렸으니 , 삼조선의 분립은 곧 지나 전국시대의 일이요 , 지나 전국시대는 기원전 4 세기경이니 , 그러면 기원전 땅 4세기 경에 신·말·불 삼조선이 분립한 것이겠다 .

신조선은 성이 해씨 ( 解氏 ) 니 , 대단군 왕검의 자손이라 일컬은 자이고 , 불조선은 성이 기씨 ( 箕氏 ) 니 기자 ( 箕子 ) 의 자손이라 일컬은 자이고 , 말조선은 성이 한씨 ( 韓氏 ) 니 그 선대의 연원은 알 수 없으나 , 왕부 ( 王符 ) 의 잠부론 ( 潛夫論 ) 에 , “한 ( 韓 ) 의 서쪽도 역시 성이 한 ( 韓 ) 인데 위만 ( 衛滿 ) 에게 토벌당해 바다 가운데로 옮겨가 살았다 ( 韓西亦姓韓 爲衛滿所伐 遷居海中 ). ”고 하였으니 , 한서 ( 韓西 ) 는 대개 말조선에 딸린 곳이므로 , 말조선은 성이 한씨 ( 韓氏 ) 인가 한다 .

위략 ( 魏略 ) 에 , “기자 ( 箕子 ) 의 후손 조선후 ( 朝鮮候 ) 는 주 ( 周 ) 가 쇠해지고 연 ( 燕 ) 이 자존 ( 自尊 ) 하여 왕이 되서 동쪽으로 땅을 공략하려고 하는 것을 보고 , 조선후도 역시 스스로 왕을 일컫고 군사를 일으켜 연을 배후에서 쳐 주실 ( 周室 ) 을 높이려고 하다가 대부례 ( 大夫禮 ) 가 간하여 그만두고 대부례로 하여금 연을 설득하여 연은 공격하지 않았다 ( 箕子之後朝鮮候 見周衰 燕自尊爲王 欲東略地 朝鮮候亦自稱爲王 欲興兵逆擊燕 以尊周室 大夫禮 諫之乃止 使禮西說燕以之止 不攻 ). ”고 하였는데 , 위략은 곧 서양의 백인종인 대진 ( 大秦 ) ·로마 ( 羅馬 ) 까지도 중국인의 자손이라 기록한 가장 지나식의 자존적 ( 自尊的 ) 병심리 ( 病心理 ) 를 발휘한 글이니 , 그 글의 전부를 덮어놓고 믿을 수는 없으나 `신한' , `불한'을 당시 조선에서 진한·마한·변한으로 음역한 이외 에 `신한'은 혹 의역하여 `진왕 ( 辰王 ) ' , `태왕 ( 太王 ) '이라고 하였으니 ( 다만 辰王의 辰은 음역 ) `신한'은 한자로 쓰면 조선왕 ( 朝鮮王 ) 이라 하였을 것이요 , `말한' , `불한'은 의역하여 좌보 ( 左輔 ) ·우보 ( 右輔 ) 라 하였으니 , 한자로 쓰면 조선후 ( 朝鮮候 ) 라 하였을 것이므로 기자가 이 때에 `불한'의 지위에 었었으니 조선후라 일컬음이 또한 옳다 .

`불한' 조선후 기씨가 신한' 조선왕 개씨를 배반하고 스스로 `신 한'이라 일컬어서 삼조선 분립의 판국을 열었는데 , `불한'이 `신한'을 일컬은 것이 연(燕)이 왕을 일컬은 뒤요 , 연이 왕을 일컬은 것은사기 에 주 ( 周 ) 에 신정왕 ( 愼0x08 graphic王 ) 46 년 , 기원전 323 년이니 신 ·말·불 삼조 선의 분립이 기원전 4 세기 경임을 확증하는 것이고 , 대부례는 대개 `불한'의 유력한 모사 ( 謨士 ) 니 , `불한'을 권하여 `신한'을 배반하고 역시 `신한'이라 일컫게 하고 , 연과 결탁하여 동 ·서 두 새 왕국을 동맹하게 한 이가 또한 대부례이니 대부례는 삼조선 분립을 주동한 중심 인물일 것이다 .

삼조선 분립 이전에는 `신한'이 하나였는데 , 삼조선이 분립한 뒤에 는 `신한'이 셋이 되었다 . 곧 신조선의 `신한'이 그 하나요 , 말조선의 `신한'이 그 둘이요 , 불조선의 `신한'이 그 셋이니 , 곧 대왕 ( 大王 ) 이 라는 뜻이다 .

제 2 장 삼조선분립 후의 신조선

1. 신조선의 서침(西侵)과 燕 ·趙 ·秦(연·조·진)의 장성(長城)

삼조선이 분립한 뒤 오래지 않아서 신조선왕 모갑 ( 某甲 ) 이 영특하고 용감하여 마침내 말·불 두 조선을 다시 연합해 지금의 동몽고 ( 東蒙古 ) 둥지를 쳐서 선비를 정복하고 연을 쳐 우북평 ( 右北平 )---- 지금의 영평부 ( 永平府 ) 와 어양 ( 漁陽 )---- 지금의 북경 ( 北京 ) 부근과 , 상곡 ( 上谷 )---- 지금의 산서성 ( 山西省 ) 대동부 ( 大同府 ) 등지를 다 차 지하여 불리지 ( 弗離支 ) 의 옛 땅을 회복했다 . 연왕 ( 燕王 ) 이 크게 두려워서 세폐 ( 歲輪 ) 를 신조선에 바치고 신하를 일걷고 태자를 보내서 볼모를 삼게 하였는데 , 모갑이 죽고 모을 ( 某乙) 이 왕이 된 뒤에는 연의 태자가 돌아가서 연왕이 되어 장군 진개 ( 秦開 ) 를 왕자라 속여서 볼모로 보냈다 . 모을이 그 속임수를 깨닫지 못하고 진개의 민첩하고 지혜로움을 사랑하여 가까이 두었다 .

진개는 나라의 모든 비밀을 탐지해가지고 도망해 돌아가서 군사를 거느리고 와 신조선을 습격 , 신 ·말 ·불 세 나라의 군사를 깨뜨리고 서북 변경 , 곧 전자에 신조선 왕 모갑이 점령한 상곡 ·어양·우북평 등지를 빼앗고 나아가 불조선의 변경을 습격해 요서 ( 遼西 )--- 지금 의 노룡현 ( 盧龍縣 ) 과 , 요동 ( 遼東 )--- 지금의 요양 ( 遼場 ) 부근을 함락시켜 , 상곡 ·어양·우북평 ·요서 ·요동의 5 군을 두고 , 2 천리 장성을 쌓아 조선을 막으니 , 사기 조선열전 ( 朝鮮列傳 ) 에 , “연의 전성시대에 일찍이 진번조선을 침략하여 복속시켰다 ( 全燕時嘗略屬眞番 朝鮮 ). ”고 한 것과 흉노열전에 , “연의 어진 장수 진개 ( 秦開 )가 호 ( 胡 ) 에게 볼모가 되어 호가 깊이 믿었는데 , 돌아와서 동호 ( 東胡 ) 를 습격하여 깨뜨리니 , 동호는 1 천여 리를 퇴각하였다 . 연이 또한 장성을 쌓고 조양 ( 造陽 ) 에서부터 양평 ( 襄平 ) 에까지 상곡 ·어양 ·우북평 ·요서 ·요동의 군을 설치하였다 ( 燕有賢將秦開 爲質於胡 胡甚信之 歸而襲破東胡 東胡却千餘里 燕亦築長城 自造陽 至襄平 置上谷漁陽 右北平 遼西 遼東郡 ). ”고 한 것과 위략에 , 연이 장군 진개를 보내 그 서쪽을 공격하여 땅 2 천여 리를 빼앗아 만반한 ( 滿潘汗 ) 에까지 이르렀다 ( 燕乃遺將 秦開 攻其西方 取地二千餘里 至滿潘汗 ). ”고 한 것이 다 이를 가리킨 것이다 . 그러나 진개가 볼모로 갔던 신조선이 아니므로 , 사기에는 이를 흉노전과 조선전 두 곳에 나누어 기록하였고 , 위략에는 비록 조선전에 기록하였으나 , 진개의 볼모되었던 사실을 쓰지 아니하였다 . 만반한은 조선의 역사 지리상 큰 문제이므로 다음 장에서 다시 말할 것이다 .

이때 지나 북쪽의 나라로서 조선을 막기 위하여 장성을 쌓은 자는 연 한 나라뿐 아니다 . 조 ( 趙 : 지금의 直匠省 서쪽 절반과 河南省 북쪽 끝과 山西省 ) 의 무령왕 ( 武靈王 ) 의 장성 ( 지금 山西의 북쪽 ) 이 또한 조선과 조선의 속민 ( 屬民 ) 인 담림 ( 澹林 ) ·누번 ( 樓煩 ) 등 때문에 쌓은 것이고 , 진 ( 秦 : 지금의 陝西省 ) 소왕 ( 昭王 ) 의 장성은 의거 ( 義渠 를 토멸 하고 흉노를 막기 위하여 쌓은 것이지마는 , 의거는 원래 조선 종족으로 지금의 감숙성 ( 甘肅省 ) 에 옮겨가서 성을 쌓고 대궐을 지었다 . 농사가 발달하여 문화가 상당히 발달되었고 병력이 강하여 진 ( 秦 ) 을 압박하였다 . 진의 선태후 ( 宣太后 : 秦始星의 高祖母 ) 는 절세의 미인이었는데 , 의거가 진을 토멸할까 두려워서 의거왕을 꾀어 간통하여 두 아들을 낳게 하고는 의거왕을 불러다 쳐 죽이고 , 두 아들까지 죽여버려 그 나라를 멸망시켰다 .

2. 창해역사(滄海力士)의 철퇴와 진시황의 만리장성

신조선이 연 ·조와 격전을 벌이는 동안에 진이 강성해져서 마침내 한 ( 韓 ) ·위 ( 魏 ) ·조 ( 趙 ) ·연 ( 燕 ) ·제 ( 齊 ) ·초 ( 楚 ) 등 지나의 여러 나라를 다 토멸하니 , 한인 ( 韓人 ) 장량 ( 張良 ) 이 망국의 한을 품고 조선에 들어와 구원을 청하였다 . 왕 모병 ( 某丙 ) 이 장사 여씨 ( 黎氏 ) 를 소개해 주어 , 진시황의 순행 ( 巡幸 ) 을 기회하여 120 근 철퇴를 가지고 양무현 ( 陽武縣 ) 박랑사 ( 博浪沙 ) 가운데서 그를 저격하다가 잘못 부거 ( 副車 ) 를 부수고 성공치 못하였다 .

사기에 장량이 창해군 ( 滄海君 ) 을 보고 장사를 구하였다고 하였으므로 , 어떤 이는 창해를 강릉 ( 江陵 ) 이라 하고 , 창해군을 강릉의 군장 ( 郡長 ) 이라고 하며 , 장사 여씨를 강릉 출생이라 하였지마는 , 창해는 동부여의 딴 이름이고 , 동부여 두 나라는 1) 북갈사 ( 北曷思 : 지금의 琿春 ) 2) 남갈사 ( 南曷思 : 지금의 咸興 ) 에 도읍했으니 , 창해는 이 두 곳 중의 하나요 , 강릉이 창해라는 설은 근거없는 말이다 . 얼마 안 가서 진시황이 동북쪽의 조선과 서북쪽의 흉노를 염려하여 옛날의 연 ·조 ·진의 장성을 연결하여 건축하는데 , 전 지나의 인민을 동원하여 부역에 종사하게 하고 장군 몽념 ( 寒恬 ) 으로 하여금 30 만 군사를 거느려 감독케 해서 동양 사상 유명한 이른바 만리장성을 완성하였다 .

기원전 210 년에 진시황이 죽고 , 이세 ( 二世 ) 가 즉위하매 , 이듬해에 진승 ( 陳勝 ) ·항적 ( 項籍 ) ·유방 ( 劉邦) 등 혁명 군웅이 봉기하여 진을 멸망시켰다 . 이두산 ( 李斗山 ) 이 이를 논하여 말하기를 , “진 ( 秦) 의 위력이 태고 이래로 짝이 없도록 팽창하여 , 만성 ( 萬成 : 모든 사람 ) 이 바야 흐로 시황을 천신 ( 天神 ) 으로 우러러보는데 , 난데없이 벽력 같은 철퇴가 시황의 혼백을 빼앗고 , 여섯 나라 ( 한 ·위 ·조 ·연 ·제 ·초 ) 의 유민의 적개심을 뒤흔들어 놓았으므로 , 시황의 시체가 땅에 들어가기 전에 진을 멸망시키려는 깃발이 사방에 날렸으니 , 이는 창해역사의 공이 아니랄 수 없다 .”고 하였다 .

3. 흉노 모돈(冒頓)의 동침(東侵)과 신조선의 위축

지나의 항적 ·유방 등의 8 년 동란이 계속되는 사이에 신조선왕 모정 ( 某丁) 이 서쪽으로 출병하여 상곡 ( 上谷 ) ·어양 ( 漁陽 ) 등지를 회복 하고 , 지금의 동부 몽고 일대 선비의 항복을 받아서 국위가 다시 떨치더니 , 그 자손의 대에 마침내 흉노 모돈 ( 冒頓 ) 의 난을 만나 국세가 도로 쇠약해지고 말았다 .

흉노는 제 1 편에서 말한 바와 같이 조선과 어계 ( 語系 ) 가 같고 , 조선 과 같이 `수두'를 신봉하여 조선의 속민이 되었었는데 , 지금의 몽고 등지에 흩어져서 목축과 사냥에 종사하였다 . 천성이 침략을 즐겨 자주 지나의 북부를 짓밟고 , 신조선에 대하여도 배반과 귀부 ( 歸附 ) 가 무상하였는데 , 기원전 200 년경에 두만 ( 頭曼) 이 흉노선우 ( 匈奴單于 : 흉노 大酋長의 호 ) 가 되어 , 맏아들 모돈 ( 冒頓 ) 을 미워하고 작은 아들〔小子〕을 사랑하다가 모돈에게 죽고 모돈이 대신 선우가 되었다 .

신조선왕은 그가 사납고 음흉함을 모르고 자주 물건을 요구하였는 데 , 모돈은 짐짓 그 환심을 사기 위해 신조선왕이 천리마를 구하면 그 는 자기가 사랑하는 말을 주고 , 신조선왕이 미인을 구하면 그는 그의 알씨 ( 閼氏 : 선우의 妻妾 ) 를 주니 , 신조선왕은 더욱 모돈을 믿어 사자 를 보내서 두 나라 중간의 천여리 구탈 ( 0x08 graphic脫 ) 을 신조선의 소유로 달라고 하였다 .

구탈이란 당시 중립 지대 빈 땅을 일컫는 말인데 , 모돈이 이 청구를 받고는 크게 노하여 , “토지는 나라의 근본인데 어찌 이것을 달라하느냐 .” 하고 드디어 사자를 죽이고 전 흉노의 기병을 모두 내어 신조선의 서쪽인 지금의 동부 몽고 등지를 습격하여 주민을 유린하고 선비를 수없이 학살하였다 . 신조선은 퇴각하여 장성 밖 수천 리의 땅을 버리고 선비의 남은 무리들은 선비산 ( 鮮卑山 )---- 지금의 내외 흥안령 ( 興安嶺 ) 부근으로 도주하니 , 이로부터 신조선이 아주 미약하여 오랫동안 이웃 종족과 겨루지 못하였다 . 엄복 ( 嚴復 : 淸末의 학자 ) 이 말하기를 , “흉노를 물과 풀을 따라 옮겨다니는 야만족이니 , 어찌 토지는 나라의 근본이란 말을 내었으랴 ? 이는 한갓 사마천의 과장된 글이 될 뿐이다 .”라고 하였다 . 그러나 사기 , 한서 등을 참고해 보면 , 흉노가 음산 ( 陰山 ) 의 험한 목을 빼앗긴 뒤엔 그 지방을 지나는 자가 반드시 통곡하였다 하고 , 연지 ( 燕脂 ) 가 생산되는 언지산 ( 焉支山 ) 을 빼앗긴 뒤에는 슬픈 노래를 지어 서로 위로하였으니 , 흉노의 토지 수요 ( 需要 ) 가 비록 문화적 민족과 같지 못하다 하더라도 아주 토지에 대한 관념이 없다 함은 편벽된 판단인가 한다 .

제 3 장 삼조선 분립 후의 불조선

1. 불조선의 西北境을 빼앗김 

불조선이 신조선과 합작하다가 연에게 패하였음은 이미 앞에서 말했으므로 여기에서는 다만 그 잃은 땅이 얼마나 되는가를 말하고자 한다 . 위략에 , “진개 ( 秦開 ) 가 그 서쪽을 공격하여 땅 2 천여 리를 빼앗아 만반한에까지 이르렀다 ( 秦開攻其西方 取地二千餘里 至滿播汗爲界 ). ”고 하여 , 선유 ( 先儒 ) 들은 조선과 연의 국경을 지금의 산해관 ( 山海關 ) 으로 잡고 , 진개가 빼앗은 2 천여 리를 산해관 동쪽의 종선 ( 從線 ) 2 천여 리로 잡아서 만반한을 대동강 이남에서 찾으려고 하였지마는 이는 큰 착오요 억지 판단이다 .

사기나 위략을 참조해보면 , 진개가 빼앗은 토지가 분명히 상곡에서 부터 요동까지이니 만반한을 요동 이외에서 찾으려 함은 옳지 못하다 .

한서지리지에 의거하면 요동군현 ( 遼東郡縣 ) 중에 `문 ( 汶 ) ·번한 ( 番汗 ) '의 두 현이 있으니 , 만반한은 곧 이 문번한이다 . 문현 ( 汶縣 ) 은 비록 그 연혁이 전해지지 못하였으나 , 번한 ( 番汗) 은 지금의 개평 등지 이므로 문현도 개평 부근일 것이니 , 반만한은 지금의 해성 ·개평 등의 부근일 것이다 . 그런데 이제 만반한을 대동강 이남에서 구하려 함은 무엇에 의거함인가 ? 대개 만반한은 진개가 침략해왔을 때의 지명이 아니고 , 후세 진 ( 秦) 나라 때 혹은 한 ( 漢 ) 나라 때의 명칭임을 , 위략의 저작자가 이를 가져다가 진개 침략 때 두 나라의 국경을 입증한 것일 것이며 , 번한 ( 番汗 ) 은 `불한'의 옛 서울 부근임으로 하여 이름한 것일 것이다 .

사기의 1 천여 리는 신조선이 잃은 땅만 지적한 것이요 . 위략의 2 천 여 리는 신 ·불 두 조선이 잃은 땅을 아울러 지적한 것이니 , 상곡 ·어양 일대는 신조선이 잃은 땅이요 , 요동 ( 遙東 ) ·요서 ( 遙西 ) ·우북평 ( 右北平 ) 일대는 불조선이 잃은 땅이다 . 만반한은 사군 ( 四郡 ) 연혁의 문제와 관계가 매우 깊은 것이니 , 이 절 ( 節 ) 은 독자가 잘 기억해두어 야 한다 . 

2.불조선과 秦·漢(진·한)과의 관계 

연왕 ( 燕王 ) 희 ( 喜 ) 가 진시황에게 패하여 요동으로 도읍을 옳기니 , 불조선이 지난날 연에 대한 오래된 원한을 잊지 못하여 진과 맹약하고 연을 토벌하였는데 , 얼마 안 가서 진시황이 몽념으로 하여금 장성을 쌓아 요동에 이르렀다 . 불조선이 진과 국경을 정하는데 , 지금의 헌우란 ( 0x08 graphic ) 이남의 연안 수백 리 땅엔 두 나라의 백성이 들어가 사는 것을 금했다 . 사기의 이른바 고진공지 ( 故秦空地 ) 란 이것을 가리킨 것이다 . 위략에 의거하면 이때에 불조선왕의 이름을 `부 ( 否 ) '라 하였으나 위략과 마찬가지로 관구검이 실어간 고구려의 문헌으로 자료를 삼은 삼국지와 후한서의 동이열전 ( 東夷列傳 ) 에는 부 ( 否 ) 를 기록하지 아니하였으니 , 위략에서 신조선 말엽의 왕 곧 동부여왕 ( 東扶餘王 ) 이 된 부루 ( 夫婁 ) 를 부 ( 否 ) 로 와전함인가 하여 여기에 채용하지 아니한다 .

기원전 200 여 년경에 기준 ( 箕準 ) 이 불조선왕이 되어서는 진의 진승·항적 ·유방 ( 漢高祖 ) 등이 모반하여 지나가 크게 어지러워져서 상곡 ·어양 ·우북평 등지의 조선 옛 백성과 연 ( 燕) ·제 ( 齊 ) ·조 ( 趙 ) 의 지나인들이 난을 피하여 귀화하는 자가 많은지라 , 기준이 이들에게 서쪽의 옛 중립 공지 ( 空地 ) 에 들어가 사는 것을 허락하였는데 , 한고조 유방이 지나를 통일하자 기준이 다시 한과 약조를 정하여 옛 중립 공지는 불조선의 소유로 하고 , 헌우란으로 국경을 삼았다 . 사기 조선전 에 , “한 ( 漢 ) 이 일어나니 물러나 패수 ( 浿水 ) 로 경계를 삼았다 ( 漢興...至浿水爲界 ). ”고 하고 , 위략에 , “한이 일어나자 노관 ( 盧0x08 graphic) 으로 연왕 (燕王) 을 삼고 , 조선은 연과 패수를 경계로 하였다 ( 乃漢以盧0x08 graphic爲燕王 朝鮮興燕 界於0x08 graphic水 ). ”고 한 것 ( 先儒들이 0x08 graphic는 浿의 잘못이라 했으므로 이를 쫓는다 ) 이 다 이것을 가리킨 것이니 , 대개 불조선과 연이 만반한으로 경계를 정했다가 이제 만반한 이북으로 물러났으니 , 두 책의 패수 ( 浿水 ) 는 다 헌우란을 가리킨 것임이 분명하다 . 선유들이 왕왕 대동강을 패수라고 고집함은 물론 큰 잘못이거니와 , 근일 일본의 백조고길 ( 白鳥庫吉 ) 등이 압록강 하류를 패수라고 하니 또한 큰 망발 이다 . 위의 패수에 관한 논술은 앞 절의 만반한과 다음 절의 왕검성과 대조하여 볼 것이다 . 

3. 衛滿(위만)의 반란과 불조선의 南遷(남천)

기원전 194 년에 한 ( 漢 ) 의 연왕 ( 鮮王 ) 노관 ( 盧0x08 graphic) 이 한을 배반하다가 패하여 흉노로 도망하고 , 그의 무리 위만 ( 衛滿 ) 은 불조선으로 들어와 귀화하니 , 준왕 ( 準王 ) 이 위만을 신임하여 박사관 ( 博士官 ) 에 임명해서 패수 서쪽 강변 ( 옛 중립 공지 ) 수백 리를 주어 그곳에 이주한 구민 ( 舊民 ) 과 연 ·제 ·조의 사람들을 다스리게 하였다 .

위만이 이로 인하여 군사를 만들어 더욱 조선과 지나의 망명 죄인을 데려다가 결사대를 만들어 , 그 병력이 강대해지자 , “한나라 군사가 10도 ( 道 ) 로 침략해 들어온다 .”는 거짓 보고를 준왕에게 보고하고 준왕에게 사자를 보내어 , 들어와 왕을 시위하기를 청하여 허락을 얻어가지고 정병으로 달려와 기준의 서울 왕검성을 습격하니 , 준왕이 항거해 싸우다가 전세가 불리하여 좌우 궁인 ( 宮人) 을 싣고 패잔한 군사로 바닷길을 쫓아 마한의 왕도 ( 王都 ) 월지국 ( 月支國 ) 으로 들어가서 이를 쳐 깨뜨리고 왕이 되었는데 , 오래지 않아 마한의 여러 나라가 함께 일어나서 준왕을 토멸하였다 .

왕검성은 대단군 ( 大檀君 ) 제 1 세의 이름으로 그 이름을 삼은 것인데 , 대단군의 삼경 ( 三京 )---- 지금의 합이빈과 지금의 평양과 앞서 말한 불한의 옛 도읍인 지금의 개평 동북쪽 이 세 곳이다 . 왕검성이란 이름을 가졌었을 것이니 , 위만이 도읍한 왕검성은 곧 개평 동북쪽 이다 . 한서지리지의 , “요동군 ( 遼東郡 ) 험독현 ( 險瀆縣 : 註에 滿의 도읍이라 했다 ) ”이 그것이요 , “마한의 왕도는 지금의 익산 ( 益山 ) 이다 .” 라고 하나 , 대개 잘못 전해진 것이다 . 다음 장에서 논술할 것이다 .

제 4 장 삼조선 분립 뒤의 말朝鮮

1. 말조선의 遷都(천도)와 馬韓으로의 改號

말조선의 처음 도읍이 평양임은 이미 앞에서 말하거였거니와 , 그 뒤 ( 연대는 불명 ) 에 국호를 말한〔馬韓〕이라 고치고 , 남쪽의 월지국으로 도읍을 옮겨 불조선왕 기준에게 망했다 . 그 천도한 원인이 무엇인지 전사 ( 前史 ) 에 보인 것이 없으나 , 대개 신 ·불 두 조선이 흉노와 지나의 잇따른 침략을 받아서 북방의 풍운 ( 風雲 ) 이 급하매 , 말조선왕이 난을 싫어하여 마침내 남쪽 멀리 떨어진 지방으로 천도하는 동시에 모든 침략주의를 가진 역대 제왕들의 칼 끝에서 빛나던 `조선'이라는 명사는 외국인이 시기하고 미워하는 바라 하여 , 드디어 말조선이란 칭호를 버리고 , 지난날에 왕호 ( 王號 ) 로 쓰던 `말한'을 국호로 써서 이두 로 마한 ( 馬韓 ) 이라 쓰고 , 새로 쓰는 왕호인 `신한'은 이두로 진왕 ( 辰王 ) 이라 써서 `마한국 ( 馬韓國 ) 진왕 ( 辰王 ) '이라고 일컬었다 . 똑같은 `한'이란 명사를 하나는 음을 따서 한 ( 韓 ) 이라 하여 국호로 쓰고 또 하나는 뜻을 따서 왕이라 하여 왕호로 씀은 , 문자상 국호와 왕호의 혼동을 피한 것이다 . 국호를 마한이라 쓰는 동시에 왕조는 한씨 ( 韓氏 ) 가 세습하여 국민들이 한씨왕의 존재만 아는 고로 , 기준이 그 왕위를 빼앗고는 국민의 불평을 누그러뜨리기 위하여 본래의 성 기씨 ( 箕氏 ) 를 버리고 한씨 ( 韓氏 ) 로 고친 것이다 .

삼국지에 , “준 ( 準 )- - - 달아나 바다로 들어가서 한 ( 韓 ) 의 땅에서 살며 한왕 ( 韓王 ) 이라 이름하였다 ( 準- - - 走入海 居韓地 號韓王 ). ”고 하였고 , 위략에는 , “준의 아들과 친척으로 나라에 머물러 있는 자는 성을 한씨라 하였다 ( 準子及親 留在國者 冒姓韓氏). ”고 하였다 .

월지국을 전사 ( 前史 ) 에는 백제의 금마군 ( 金馬君 : 지금의 益山 ) 이라고 하였지마는 , 이것은 속전 ( 俗傳 ) 의 익산군 마한 무강왕릉 ( 武康王陵 ) 이라는 것을 인하여 무강왕을 기준의 시호 ( 諡號 ) 라 하고 , 부근 미륵산 ( 彌勒山 ) 의 선화부인 ( 善化夫人)의 유적을 기준의 왕후 선화 ( 善花 ) 의 유적이라 하여 , 마침내 기준이 남으로 달아나서 금마군 ( 金馬 郡) 에 도읍하였다고 한것이다 . 그러나 무강왕릉은 딴 이름이 말통대왕릉 ( 末通大王陵) 이요 , 말통은 백제 무왕 ( 武王 ) 의 어릴 때 이름 ( 무왕의 이름은 `마동'이니 삼국유사의 薯童은 그 의역이고 , 고려사 지리지 의 末通은 그 음역 ) 이요 , 선화는 신라 진평대왕 (眞平大王 ) 의 공주로서 , 무왕의 후 ( 后 ) 가 된 아이고 , 백제를 왕왕 마한이라 함은 역사에 그 예가 적지 아니하니 , 이따위 고적은 한갓 익산 ( 益山 ) 이 백제의 옛 서울임을 증명함에는 부족할뿐더러 , 마한 50 여국 중에 윌지국과 건마국 ( 乾馬國 ) 이 있으니 , 건마국이 금마군 ( 金馬郡) 곧 지금의 익산일 것이므로 , 월지국 ----마한의 옛 서울은 다른 나라에서 찾음이 옳다 . 그 확실한 지점은 알 수 없으나 마한과 백제 ( 백제 건국 13 년 ) 의 국경이 웅천 ( 熊川 )---- 지금의 공주 ( 公州 ) 이니 , 월지국이 대개 그 부근일 것이다 .

말한이 비록 국호가 되었지마는 , 그 5,6 백 년 후에도 오히려 왕호 ( 王號 ) 로 쓴 이가 있다 . 신라의 눌지 ( 訥祗 ) ·자비 ( 慈悲 ) ·소지 ( 炤智 ) ·지증 ( 智證 ) 네 왕은 다 `마립간 ( 麻立干 ) '이라 일컬었는데 , 눌지 마립간 ( 訥祗麻立干 ) 의 주에 , “마립은 말 ( 말뚝 ) 이다 ( 麻立0x08 graphic也 ) ”라 하 였으니 , 궐 ( 0x08 graphic) 은글자뜻이 `말'이므로 , 마립 ( 麻立 ) 의 `마 ( 麻 ) '는 그 전성 ( 全聲 ) 을 취하여 `마'로 읽고 , `입 ( 立 ) '은 그 초성 ( 初聲 ) 을 취하 여 ` 己 '로 읽고 , `간 (干) '은 그 전성을 취하여 `한'으로 읽는 것임이 명백하므로 마립간은 곧 `말한'이요 , 말한을 왕호로 쓴 증거이다 .

2. 樂浪과 南三韓의 對峙(낙랑과 남삼한의 대치)

마한이 월지국으로 도읍을 옮긴 뒤에 그 옛 도읍 평양에는 최씨 ( 崔氏 ) 가 일어나서 그 부근 25 국을 통속하여 한 대국이 되었으니 , 전사 ( 前史 ) 에 이른바 낙랑국 ( 樂浪國 ) 이 그것이다 . 낙랑이 이미 분리되매 , 마한이 지금의 임진강 이북을 잃었으나 오히려 임진강 이남 70여국을 통솔하더니 , 오래지 아니하여 북방에서 지나와 흉노의 난리를 피하여 마한으로 들어오는 신·불 두 조선의 유민이 날로 많아지므로 , 마한이 지금의 낙동강 연안 오른편의 1 백여 리 땅을 떼어 신조선의 유민들에게 주어 자치계 ( 自治0x08 graphic: 고대에 모임을 계라 하였음 ) 를 세워서 이름을 `진한부 ( 辰韓部 ) '라 하고 , 낙동강 연안 오른편의 땅을 얼마간 떼서 불조선의 유민들에게 주어 또한 자치계를 세워서 `변한부 ( 井韓部 ) '라 일컬었다 . 변한에는 신조선의 유민들도 섞여 살았으므로 변진부 ( 井辰部 ) 라고도 일컬었다 . 이것이 남삼한 ( 南三韓 ) 이니 마한이 구태여 진·변 두 한을 세운 것은 또한 삼신 ( 三神 ) 에 따라 삼의 수를 채운 것이다 .대단군 왕검의 삼한이 중심 주권자가 되고 말·불 두 한은 좌우의 보상 ( 輔相 ) 이 되었는데 , 이제 남삼한은 말한 곧 마한이 가장 큰 나라 , 곧 종주국이 되고 , 신한 곧 진한과 불한 곧 변한이 두 작은 나라 ( 소속국 ) 가 된 것은 , 그 이주민의 계통을 쫓아 이름을 지었기 때문이거니와 , 삼한이 다 왕을 `신한'이라 일컬어서 ( 이를테면 마한의 왕은 말한 나라의 신한이라 하고 , 진한의 왕은 신한나라의 신한이라 하고 , 변한의 왕은 불한나라의 신한이라 하였음 ) 신한이 셋이 되니 , 대개 앞의 것 ( 신한 셋 ) 은 삼조선 분립 이후에 세 신한의 이름을 그대로 쓴 것이 며 , 진·변 두 한의 두 신한은 자립하지 못하고 대대로 마한의 신한이 겸해 가져서 이름만 있고 실제가 없었으니 이는 남삼한의 창례 ( 創例 ) 이다 .

삼한은 우리 역사상에 비상히 시비가 많은 문제로 되었지마는 종래의 학자들이 다만 삼국지 삼한전(三韓傳)의 삼한 곧 남삼한을 의거하여 , 그 강역의 위치를 결정하려 할 뿐이고 1) 삼한의 명칭의 유래와 , 2) 삼한의 예제(禮制)의 변혁을 알지 못하여 , 비록 공력은 많이 들였으나 북방 원유(原有)의 삼한을 발견하지 못할 뿐 아니라 , 남삼한과의 상호 관계도 명백히 알아내지 못하였다 .

3. 樂浪 25 국과 南三韓 70 여국

 낙랑의 여러 나라로 역사에 보인 것이 25 이니 , 조선 ( 朝鮮 ) · 감한( 감邯 ) · 패수 ( 浿水 ) · 함자 ( 含資 : 貪資라고도 함 ) · 점선 ( 점蟬 ) · 수성 ( 遂城 ) · 증지 ( 增地 ) · 대방 ( 帶方 ) · 사망 ( 駟望 ) · 해명 ( 海冥 ) · 열구 ( 列 口 ) · 장잠 ( 長岑 ) · 둔유 ( 屯有 ) · 소명 ( 昭明 ) · 누방 ( 鏤方 ) · 제해 ( 提奚 ) · 혼미 ( 渾彌 ) · 탄렬 ( 呑列 ) · 동이 ( 東이 ) · 불이 ( 不而 : 不耐라고도 함 ) · 잠대 ( 蠶臺 ) · 화려 ( 華麗 ) · 야두미 ( 邪頭味 ) · 전막 ( 前莫 ) · 부조 ( 夫租 ) : 沃沮 의 잘못인 듯 ) 등이니 , 위의 25 국은 한서지리지에 한 ( 漢 ) 낙랑군 ( 樂浪郡) 의 25 현 ( 縣 ) 으로 기록되어 있으나 , 이는 한서의 본문이 아니라 , 당나라 태종이 고구려를 침략하려고 할 때에 그 신하와 백성 들의 적개심을 고취하기 위하여 조선이 거의 다 지나의 옛 땅임을 위증 ( 僞證 ) 하고자 전대 지나의 역사책 중에서 조선에 관계되는 것틀을 죄다 가져다가 많이 고칠 때 , 조선 고대의 낙랑 25 국을 낙랑군 25 현으로 고쳐 한서지리지에 넣은 것이니 , 이는 제 4 편에서 다시 자세히 논술 하기로 한다 .

25 국 중 `조선'과 `폐수'는 다 평양에 있는 나라인데 , 조선은 곧 말 조선의 옛 땅이므로 조선이라 일컬어서 , 낙랑의 종주국이 된 것이고 ,패수는 `펴라'로 읽을 것이니 , 24 속국의 하나이다 . 조선국과 패수국과의 관계를 비유하면 전자는 평양감영 ( 平壞藍營 ) 과 같은 것이요 , 후자 는 이에 딸린 각 고을과 같은 것이다 .

`소명 '은 지금의 춘천 ( 春川 ) 소양강 ( 昭陽江 ) 이요 , 불이는 그 뒤에 동부여가 된 것으로 지금의 함흥 ( 咸興 ) 이니 , 낙랑국의 전체가 지금의 평안 · 황해 두 도를 비롯하여 강원도 · 함경도의 각 일부분을 차지한 것이었다 . 삼한의 여러 나라로서 역사에 보인 것이 70 여국이니 , 마한은 애양 ( 爰襄 ) · 모수 ( 牟水 ) · 상외 ( 桑外 ) · 소석색 ( 小石索 ) · 대석색 ( 大石索 ) · 우휴모탁 ( 優休牟탁) · 신분고 ( 臣憤沽 : 臣憤活이라고도 함 ) · 백 제 ( 伯濟 : 伯齊로도 씀 ) · 속로불사 ( 速盧不斯 ) · 일화 ( 日華 ) · 고탄자 ( 古誕者 ) · 고리 ( 古離 ) · 노람 ( 怒藍 ) · 윌지 ( 月支 ) . 치리모로 ( 治離牟盧 : 咨離牟盧라고도 함 ) · 소위건 ( 素謂乾 ) · 고원 ( 古爰 ) · 막로 ( 莫盧 ) · 비리 ( 卑離 ) · 점비리 ( 占卑離 ) · 신흔 ( 臣흔 : 占흔이라고도 함 ) · 지침 ( 支侵 ) · 구로 ( 狗盧 ) · 비미 ( 卑彌 ) · 감해비리 ( 監奚卑離 ) · 고포 ( 古蒲 ) · 치리국 ( 致利鞠 ) · 염로 ( 염路 ) · 아림 ( 兒林 ) · 사로 ( 駟盧 ) · 내비잡 ( 內卑雜 : 內卑離라고도 함 ) · 감해 ( 感奚 ) · 만로 ( 萬盧 ) · 벽비리 ( 벽卑離 ) · 구사오단 ( 臼斯烏旦 ) · 일리 ( 一離 ) · 불미 ( 不彌 : 不離라고도 함 ) · 지반 ( 支半 : 友半이라고도 함 ) · 구소 ( 狗素 ) · 첩로 ( 捷盧 : 첩盧라고도 함 ) · 모로비리 ( 牟盧卑離 ) · 신소도 ( 臣蘇塗 ) · 고랍 ( 古臘 ) · 임소반 ( 臨素半 ) · 신운신 ( 臣雲新 ) · 여래비리 ( 如來卑離 ) · 초산도비리 ( 楚山塗卑離 ) · 일난 ( 一難 ) · 구해 ( 狗奚 ) · 불운 ( 不雲 ) · 불사분야 ( 不斯분邪 ) · 원지 ( 爰池 ) · 건마 ( 乾馬 ) · 초리 ( 楚離 ) 등 54 국을 통솔 하였다 . 비리 ( 卑離 ) 의 여러 나라는 삼국사기 백제본기 ( 百濟本紀 ) 의 부여와 , 백제지리지 ( 百濟地理志 ) 의 부리 ( 夫里 ) 이니 , 비리는 부여 ----지금의 부여이고 , `감해비리'는 고막부리 ( 古莫夫里 )---- 지금의 공주 ( 公州 ) 요 , `벽비리'는 파부리 ( 波夫里 )--- 지금의 능주 ( 綾州 : 和 順 ) 요 , `신소도'는 신수두 곧 대신단 ( 大神檀 ) 이 있는 곳이니 , 성대호 ( 省大號 , 일명 蘇泰 )--- 지금의 태안 ( 泰安 ) 이요 , `지침'은 지심 ( 支심 )---- 지금의 진천 ( 鎭川 ) 등지요 , `건마'는 금마군 ( 金馬郡)---백제 무왕릉 ( 武王陵 ) 이 있는 곳이다 . 이 밖에도 상고할 것이 많으나 아직 두어둔다 .

변한은 미리미동 ( 彌離彌凍 ) ·접도 ( 接塗 ) ·고자미동 ( 古資彌凍 ) ·고순시 ( 古淳是 ) ·반로 ( 半路 ) ·낙노 ( 樂奴 ) ·미오야마 ( 彌烏邪馬 ) ·감로 (甘路 ) ·구야 ( 狗邪 ) ·주조마 ( 走漕馬 ) ·안야 ( 安邪 ) ·독로 ( 瀆盧 ) 등 12 부 ( 部 ) 를 통털어 일컫는 말이다 . 미동 ( 彌凍) 은 `믿'으로 읽으니 , 수만 ( 水灣 ) 이란 뜻이고 , 고자 ( 古資 ) 는 `구지'로 읽으니 , 반도 ( 半島 ) 란 뜻 이고 , 야 ( 邪 ) 는 `라'로 읽으니 , 강 ( 江 ) 이란 뜻이다 . 위의 12 부는 신라 지리지와 가락국기 ( 駕洛國記 ) 에서 그 유지 ( 遺址 ) 를 찾아보면 , `고자미동'은 고자군 ( 古自郡 )--- 지금의 고성만 ( 固城灣 ) 이요 , `고순시'는 고령가야 ( 古寧加耶 )--- 지금의 상주 ( 尙州 ) 와 함창 ( 咸昌 ) 사이에 공갈못〔恭儉池〕이니 , 공갈은 고령가야의 촉음 (促音 ) 이요 , `반로'는 `벌' 로 읽으니 , 별〔星〕이란 뜻으로 성산가야 ( 星山加邪 )--- 지금의 성주 ( 星州 ) 요 , `미오야마'는 미오마야 ( 彌烏馬邪) 로도 써서 `밈라'로 읽으니 , 임나 ( 任那 )--- 지금의 고령 ( 高靈 ) 이요 , `구야'는 `가라'로 읽으 니 대지 ( 大地 ) 라는 뜻으로 지금의 김해 ( 金海 ) 요 , `안야'는 `아라'로 읽으나 , 수명 ( 水名 ) 으로서 지금의 함안 ( 咸安 ) 이다 . 위의 여섯 나라는 곧 뒤에 가라 ( 加羅 ) 여섯 나라 ( 제 4 장 제 2 절 참고 ) 가 된 것이고 , 그 나머지는 자세치 아니하나 대개 그 부근일 것이다 .

진한은 기저 ( 己저 : 己抵로도 씀 ) ·불사 ( 不斯 ) ·근기 ( 勤耆 ) ·염해 ( 염奚 ) ·군미 ( 軍彌 ) ·여담 ( 如湛 ) ·호로 ( 戶路 ) ·주선 ( 州鮮 ) ·마연 ( 馬延 ) ·사로 ( 斯盧 ) ·우중 ( 優中 ) ·난미리미동 ( 難彌離彌凍 ) 등 12 부를 통 털어 일컬음이니 , 위 12 부는 오직 사로가 신라인 줄을 알 수 있고 , 그 밖의 각부의 연혁은 알 수 없으니 , 이는 신라 말에 한학자들이 그 명사를 모두 전의 이두자를 버리고 한자로 의역하였기 때문이다 . 그 자세한 것은 제 4 편 제 4 장에서 논술한 것이다 ( 변한 12 부와 진한 12 부는 책에 따라 서로 드나들어 같지 아니함 ).

마한이 본래 거의 압록강 동쪽 전부를 차지하였으니 따라서 낙랑· 진한·변한 세 나라가 생겨 지금의 조령 ( 鳥嶺 ) 이남과 임진강 이북을 나누어 차지하였으나 , 진·변 두 한은 이름은 나라로되 설상은 신·불 두 조선의 유민의 자치부 ( 自治部 ) 로써 마한에 대하여 조공과 납세 를 끊지 아니하여 낙랑 같은 적국이 아니었다 . 

제 5 장 삼조선 붕괴의 원인과 결과 

1.三神說의 破정 

앞의 제 2 · 3 · 4 장에서 대강 서술한 바와 같이 , 신·말·불 삼조선 이 이렇게 한꺼번에 무너져버린 것은 무엇 때문인가 ?  1) 삼한은 원래 천일 ( 天 一 )·지일 ( 地一 )·태일 ( 太一 ) 의 삼신설에 의하여 인민이 `말한'은 천신의 대표로 , `불한'은 지신의 대표로 `신한'은 하늘보다 높고 땅보다 큰 우주 유일신의 대표로 신앙하여 오다가 말·불 두 한이 신한을 배반하고 각기 스스로 신한이라 일컬어 삼대왕이 나란히 서서 지력 ( 智力 ) 으로 지위를 획득하매 , 일반 사람들이 계급은 자연적·고정적이 아니고 힘만 있으면 파괴할 수도 있고 건설할 수도 있음을 깨 달아서 삼신설을 의심하기에 이르렀음이 그 원인이고 ,  2) 역대의 삼한이 한갓 삼신이 미신으로만 인심을 끌어갈 뿐 아니라 , 매양 외구 ( 外寇 ) 를 물리치고 국토를 확장하여 천하가 다 그 위령에 떨게 하였는데 , 이제 삼국의 신하들도 흉노와 지나의 잇달은 침략을 저항하지 못하여 국토가 많이 떨어져 나가매 , 일반 사람들이 이에 제왕도 사람의 아들이요 , 하늘의 아들이 아니므로 그의 성패 흥망도 보통 사람과 같음을 알고 , 삼한의 신엄 ( 神嚴 ) 을 부인함에 이르렀음이 그 가까운 원인이니 , 삼신설의 기초 위에 세운 삼한이므로 삼신설의 파탄이 생긴 이후 에야 어찌 붕괴하지 않을 수 있으랴 ?

2.列國의 분립 

삼신설의 파탄이 생겨 삼한에 대한 신앙이 추락되니 , 이는 확실히 조선 유사 이래의 큰 변국 ( 變局 ) 이었다 . 그러므로 일부 인민들이 신인과 영웅들의 허위를 깨닫고 , 왕왕 자치촌 ( 自治村 )·자치계 (自治0x08 graphic ) 같은 것을 설립하여 민중의 힘으로 민중의 일을 스스로 결정하기를 시험하였으니 , 기록에 보인 증적은 진한부 ( 辰韓部 )·변한부 ( 弁韓部 ) 같은 것이 그 일종이요 , 그 밖에도 역사책에 누락된 그러한 시험이 많았을 것이다 .

그러나 미신을 타파하여 우주 문제 , 인생 문제 등을 올바르게 해결한 학설이 없고 , 사방의 이웃은 조선보다 문화가 낮은 예·선비·흉 노·왜 등 야만족들이라 진화에 도움이 될 벗이 없으며 , 지나는 비록 구원한 문화를 가졌으나 거의 군권 ( 君權 ) 을 옹호하는 사상과 학설뿐 이라 , 그 문자의 수입이 도리어 민중의 진보를 방해하게 되었다 .

민중의 지력은 유치하고 옛 세력의 뿌리는 깊이 박혀 었어서 , 이에 제왕의 후예들은 그 조상의 지위를 회복하려 하고 민간의 사납고 용감한 영웅들은 사회의 새로운 지위를 획득하려 하며 작은 나라는 큰 나라가 되기를 희망하고 , 큰 나라는 더욱 강토를 확장하려 하여 , 혹은 신수두님[大檀君]이라 일컫고 , 혹은 신한〔辰王〕이라 일컬으며 , 혹은 말한[麻立干〕이라 일컫고 , 혹은 불구래〔弗矩內〕라 일컬으며 , 혹은 하늘에서 내려왔다 하고 , 혹은 해외에서 떠왔다 하며 , 혹은 태양의 정기로 생겨났다 하고 , 혹은 알 속에서 나왔다고하여 , 전통적 미신 세력에 의지하여 민중을 유혹 혹은 위협하니 구구한 민중 세력의 새싹이라 할 얼마간의 자치 단체가 그 정복을 받아 스스로 사라지고 , 세력 쟁탈 의 싸움이 사방에서 일어나 여러 나라의 쟁웅시대 ( 爭雄時代 ) 를 형성하였다 .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제4편 계속